현재 사용하고 있는 재질로서 실리콘과 불소화화물을 재료로 만든 산소 투과성 렌즈입니다.
PMMA재질의 하드렌즈와 소프트타입의 장점을 결합해 만들어졌으며,
공기속의 산소를 직접 공급 받으므로 눈에 무리 없이 장시간 연속착용이 가능합니다.
1. RGP렌즈의 종류(디자인에 따라)
● 구면(Spheric)렌즈
렌즈의 면이 구면처럼 일정한 커브를 가지고 있으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 비구면(Aspheric)렌즈
우리 눈의 각막은 정확한 구면이 아닌 비구면의 모양을 가지는데 이러한 각막형태에 근접한 모양을 가지는 렌즈입니다.
● 토릭(Toric)렌즈
고도난시 교정용
● 이중초점(Bifocal)혹은 다중초점(Multifocal)렌즈
노안 교정용
● 역기하(Reverse Geometry)렌즈
무수술시력교정용 렌즈로서 각막의 중심부위를 눌러주어 렌즈를 벗은 상태에서도 교정된 시력을 유지시켜 줍니다.
2. RGP렌즈의 장점
3. RGP렌즈가 소프트렌즈보다 좋은 점
구 분 | 소프트콘택트렌즈 | RGP콘택트렌즈 |
시력교정효과 | 좋다 | 아주 좋다 |
산소투과성 | 낮다 | 매우좋다 (소재자체가 산소 투과) |
각막난시교정 | 불완전 | 완전 |
근시진행억제효과 | 없다 | 진행을 억제 |
재질의 변화 | 있다 | 거의 없다 |
렌즈의 수명 | 6개월 ~ 1년 | 2 ~ 3년 |
착용 후 부작용 | 많다 | 적다 |
관리방법 | 복잡하다 (매일 세정과 소독이 필수) | 간단하다 |
착용감 | 함수성 때문에 착용감이 좋다 | 착용초기에는 이물감이 있다 |
4. 각막에 눈물 (산소 및 영양분) 전달 방법 비교